스웨덴 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웨덴 해군은 9세기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레당 시스템을 통해 해안 방어를 조직했으나, 사회 변화와 기술 발전으로 인해 1522년 구스타프 1세가 뤼베크에서 함선을 구매하면서 정식 해군으로 창설되었다. 발트해 패권을 다투며 덴마크와 여러 차례 해전을 벌였지만, 18세기 항에 해전에서 러시아에 패배하며 쇠퇴했다. 이후 중립국 정책을 유지하며 해군력을 현대화했고, 2006년부터 유엔 평화 유지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현재 스웨덴 해군은 다양한 함정과 헬리콥터를 운용하며, 잠수함, 코르벳, 초계함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군참모총장이 지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스웨덴 해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함대) (왕립 함대, 역사적 명칭) |
역할 | 해군 |
규모 | 2,100명 |
창설일 | 1522년 6월 7일 () |
소속 | 스웨덴군 |
본부 | 무쇠 |
지휘부 | |
총사령관 | 해군 소장 요한 노를렌 |
부사령관 | 준장 파트리크 가르데스텐 |
해군 참모총장 | 대령 호칸 닐손 |
상징 | |
조직 | |
주요 부대 | 스웨덴 해병대 (Amfibiekåren) |
군가 및 기념 | |
군가 | "Kungliga Flottans paradmarsch" (Wagner) (왕립 함대 행진곡, 바그너) |
기념일 | 7월 9일 (스벤스크순드 해전) |
장비 | |
장비 목록 | 스웨덴 해군 장비 목록 |
전투 및 작전 | |
주요 전투 | 스웨덴 독립 전쟁 (1521–23) 백작의 전쟁 (1534–36) 러시아-스웨덴 전쟁 (1554–57) 북방 7년 전쟁 (1563–70) 러시아-스웨덴 전쟁 (1590–95) 폴란드-스웨덴 전쟁 (1600–29) 잉그리아 전쟁 (1610–1617) 칼마르 전쟁 (1611–13) 30년 전쟁 (1630–1648) 토르스텐손 전쟁 (1643–45) 제2차 북방 전쟁 (1657–60) 스카니아 전쟁 (1675–79) 대북방 전쟁 (1700–1721) 러시아-스웨덴 전쟁 (1741–43) 7년 전쟁 (1756–1763) 러시아-스웨덴 전쟁 (1788–90) 제1차 바르바리 전쟁 (1801–1802) 제4차 대프랑스 동맹 (1805–1810) 핀란드 전쟁 (1808–1809) 덴마크-스웨덴 전쟁 (1808–09) 스웨덴-노르웨이 전쟁 (1814) 올란드 침공 (1918)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2–2021) 아탈란타 작전 (2008년 이후)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스웨덴군 공식 웹사이트 (해군 소개) |
2. 역사
스웨덴 해군의 역사는 초기 바이킹 시대부터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초기에는 레당이라는 조직을 통해 해안 방어를 담당했으나, 점차 중앙집권화된 해군으로 발전했다.
1714년 항에 해전에서 러시아 차르국에 패배하여 제해권을 상실하면서 발트해의 패권은 점차 러시아 해군으로 넘어갔다. 이후 스웨덴은 중립 정책을 유지하며 해군력을 유지해왔다.
19세기 이후 스웨덴은 무장 중립 정책을 채택하여 해군력을 강화했지만, 실제로 타국과의 교전은 없었다. 1902년에는 연안포병 부대가 창설되었고, 해군 전체 명칭이 "Kangliga Flottan"(왕립 함대)에서 "Marinen"으로 변경되었다. 냉전 시대에는 소련 해군에 대한 대잠 능력 강화에 주력했으며, 냉전 종식 후에는 연안 방어 체계가 개편되어 수륙양용군단이 창설되었다.
2006년 10월, 스웨덴 해군은 처음으로 유엔 평화 유지 활동 목록에 참여하여 유엔 레바논 임시군의 일원으로 해안 감시 임무를 수행했다. 또한, 2008년부터는 아프리카의 뿔 해안에서 EU 주도의 아탈란타 작전에 참여하고 있다. 2010년에는 Carlskrona가 EUNAVFOR 기함으로 활동하며 얀 쏜크비스트 준장이 함대를 지휘했다.
2. 1. 초기 역사 (9세기 ~ 1522년)
초기 스웨덴 왕들(9~14세기)은 레당(ledungen)을 통해 해안선을 따라 스웨덴 해군을 조직했다. 레둔겐은 노 젓기와 항해하는 배들을 결합한 형태였으나, 포병은 없었다. 이 체계는 사회 발전과 군사 기술의 변화로 인해 쓸모없게 되었다. 늦어도 14세기에는 레둔겐 복무 의무가 세금으로 대체되었다. 1427년, 스웨덴이 칼마르 동맹(덴마크, 노르웨이와 함께)의 일원이었을 때, 스웨덴 군함들은 한자 동맹에 대항하는 외레순 해전에 참가했다. 그러나 이 군대가 어떻게 조직되었고 정확히 어떤 근거로 조직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1]구스타프 1세 바사는 칼마르 동맹으로부터 스웨덴이 분리된 지 1년 후인 1522년 6월 7일, 한자 동맹 도시 뤼베크로부터 많은 배들을 구입했다. 19세기 이후의 공식적인 스웨덴 역사는 종종 이 날을 현재의 스웨덴 해군의 탄생으로 기록한다. 스톡홀름에 있는 바사 박물관 배는 17세기 스웨덴 해군(Kungliga flottan)의 배였다.[1]
스웨덴의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추정되는 것은 고대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가 쓴 "게르마니아"에 기록된 "스위오네스"에 대한 기록이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스위오네스는 발트해의 섬(당시 스칸디나비아 반도는 섬으로 여겨졌다)에 살았으며, 육상 전력뿐만 아니라 수군도 보유하고 있었다. 바이킹 시대에는 무장 함대를 조직하여 발트해 연안과 슬라브족 거주 지역으로 진출한 것으로 보인다(바랴그). 그러나 이 시기에는 스웨덴 국가로서 조직적인 해군이 설립되지 않았다.
구스타브 1세가 1522년 한자동맹의 뤼베크에서 함선을 구매하면서 스웨덴 해군의 역사가 시작된다(정식 해군 설립은 1544년). 초기 해군은 바사로 대표되는 배를 운용했으며, 상당한 병력을 보유했다.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스웨덴을 해군 강국으로 만들고자 했다. 스웨덴-폴란드 전쟁에서 1627년 올리바 해전은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치세 하의 최대 해전이었지만, 패배했다. 그러나 중요 항구인 리가를 정복한 것은 해군력 확대에 도움이 되었다.
2. 2. 근대 해군의 탄생 (1522년 ~ 17세기)
1522년 구스타브 1세가 한자 동맹의 뤼베크에서 함선을 구매하면서 스웨덴 해군의 역사가 시작된다. 19세기 이후 공식 스웨덴 역사에서는 종종 이 날을 현재 스웨덴 해군의 시작으로 기록하고 있다. 초기의 해군은 바사로 대표되는 배를 운용했으며, 상당한 병력을 보유했다. 구스타브 2세 아돌프도 스웨덴을 해군 강국으로 만들려고 노력했다. 스웨덴-폴란드 전쟁에서 1627년 올리바 해전은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치세 하의 최대 해전이었지만, 폴란드 해군에게 패퇴했다. 그러나 중요한 해항인 리가를 정복한 것은 해군의 세력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창설 후 해군은 육군과 연동하여 북방 7년 전쟁과 토르스텐손 전쟁 등에서 덴마크 해군과 싸워 발트해의 패권을 잡았다(발트 제국). 스웨덴 해군은 식민지제국을 형성하지 못했지만, 덴마크-노르웨이를 형성하고 있던 덴마크와 거의 동등한 규모였다. 그러나 스웨덴의 해군력은 지속되지 못했고, 바사 왕조에서 팔츠 왕조로 대체되면서 갱신되지 않았으며, 스웨덴의 실질적인 식민지는 팔츠 왕조 하에서 사실상 소멸했다. 이는 스웨덴이 해군보다 육군을 중시한 대륙 국가였던 것도 영향을 미쳤다(군사력을 거의 해군에 집중할 수 있었던 덴마크는 해양 국가였다). 게다가 발트해에서의 패권을 잃은 덴마크 해군의 보복과 프로이센 해군의 발전에 의해 발트해에서의 패권에 균열이 생겼다. 특히 스쿠네 전쟁에서는 해군이 괴멸적인 상황에 빠졌다. 그러나 이후 칼 11세의 군사 개혁으로 해군력은 부활했다. 대북방 전쟁(1700년 - 1721년) 초기에, 이 전력의 압력으로 북방 동맹의 덴마크를 1709년까지 중립화하는 데 성공했다.
2. 3. 제국주의 시대와 쇠퇴 (17세기 ~ 18세기)
1522년 구스타브 1세가 한자동맹의 뤼베크에서 함선을 구매하면서 스웨덴 해군의 역사가 시작되었다(정식 해군 설립은 1544년). 초기의 해군은 바사로 대표되는 배를 운용했으며, 상당한 병력을 보유했다.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스웨덴을 해군 강국으로 만들려고 노력했다. 스웨덴-폴란드 전쟁에서 1627년 올리바 해전은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치세 하의 최대 해전이었지만, 패배했다. 그러나 중요한 해항인 리가를 정복한 것은 해군의 세력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창설 후 해군은 육군과 연동하여 북방 7년 전쟁과 토르스텐손 전쟁 등에서 덴마크 해군과 싸워 발트해의 패권을 잡았다(발트 제국). 스웨덴 해군은 식민지제국을 형성하지 못했지만, 덴마크-노르웨이를 형성하고 있던 덴마크와 거의 동등한 규모였다.그러나 스웨덴의 해군력은 지속되지 못했고, 바사 왕조를 대체한 팔츠 왕조 하에서는 갱신되지 않았으며, 스웨덴의 실질적인 식민지는 팔츠 왕조 하에서 사실상 소멸했다. 이는 스웨덴이 해군보다 육군을 중시한 대륙 국가였기 때문이며, 군사력을 거의 해군에 집중할 수 있었던 덴마크는 해양 국가로 스웨덴과는 정반대였다. 게다가 발트해에서의 패권을 잃은 덴마크 해군의 보복과 프로이센 해군의 발전으로 발트해 패권에 균열이 생겼다. 특히 스쿠네 전쟁에서는 해군이 괴멸적인 상황에 빠졌다. 그러나 이후 칼 11세의 군사 개혁으로 해군력은 부활했다. 대북방 전쟁(1700년 - 1721년) 초기에 이 전력으로 북방 동맹의 덴마크를 1709년까지 중립화하는 데 성공했다.
1714년 항에 해전에서 러시아 차르국에 패배하여 제해권을 상실하면서 발트해 패권은 점차 러시아 해군으로 넘어갔다. 장기화된 전쟁으로 해군은 피폐해졌고, 이후 스웨덴은 중립화를 목표로 했다. 육군 및 해군 증강은 18세기 후반 구스타브 3세 치세에 이루어졌다. 스웨덴이 마지막으로 치른 해전은 러시아-스웨덴 전쟁(1788년 - 1790년) 중 스벤스쿠순 해전이다. 이 해전에서 스웨덴 해군은 러시아 해군에 승리했다. 이 승리에는 영국 해군에서 파견된 시드니 스미스 등 영국 해군 군인들의 활약이 컸으며, 구스타브 3세는 그들에게 소함대 지휘를 맡기고 해군 관련 주요 자문관으로 임명했다. 하지만 러시아 제국군의 물량에는 대항할 수 없었고, 다시 발트해에서 패권을 다툴 수는 없었다. 구스타브 3세의 강국 정책으로 해군은 다시 해외로 눈을 돌려 식민지도 획득했지만, 1792년 구스타브 3세가 암살되면서 다시 중립화하게 된다.
2. 4. 중립 정책과 현대화 (18세기 ~ 현재)
1522년 구스타브 1세가 한자 동맹의 뤼베크에서 함선을 구매하면서 스웨덴 해군의 역사가 시작된다.(정식 해군 설립은 1544년) 초기 해군은 바사로 대표되는 배를 운용했다.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스웨덴을 해군 강국으로 만들고자 했다. 스웨덴-폴란드 전쟁에서 1627년 올리바 해전은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치세 하 최대 해전이었지만 패배했다. 그러나 리가 정복은 해군 세력 확대에 기여했다. 창설 후 해군은 육군과 연동하여 북방 7년 전쟁과 토르스텐손 전쟁 등에서 덴마크 해군과 싸워 발트해의 패권을 잡았다(발트 제국). 스웨덴 해군은 식민지제국을 형성하지 못했지만, 덴마크-노르웨이를 형성하던 덴마크와 거의 동등한 규모였다. 그러나 스웨덴 해군력은 지속되지 못했고, 팔츠 왕조 하에서는 갱신되지 않았으며, 스웨덴의 식민지는 팔츠 왕조 하에서 소멸했다. 이는 스웨덴이 해군보다 육군을 중시한 대륙 국가였던 것도 영향을 미쳤다. 덴마크는 해양 국가로 스웨덴과 반대였다. 스쿠네 전쟁에서 해군은 괴멸적 상황이었다. 칼 11세의 군사 개혁으로 해군력이 부활했다. 대북방 전쟁(1700년 - 1721년) 초기, 북방 동맹의 덴마크를 1709년까지 중립화했다.1714년 항에 해전에서 러시아 차르국에 패배하고 제해권을 상실, 발트해 패권은 러시아 해군으로 넘어갔다. 장기화된 전쟁으로 해군은 피폐해졌다. 이후 스웨덴은 중립화를 목표했다. 육군 및 해군 증강은 18세기 후반 구스타브 3세 치세였다. 스벤스쿠순 해전에서 스웨덴 해군은 러시아 해군(발트 함대)에 승리했다. 영국 해군에서 파견된 시드니 스미스 등 영국 해군 군인들의 활약이 컸다. 구스타브 3세는 그들에게 소함대 지휘를 맡기고 해군 자문관으로 임명했다. 하지만 러시아 제국군의 물량에는 대항할 수 없었다. 구스타브 왕조 시대에 해군은 해외로 눈을 돌렸고, 식민지도 획득했지만, 1792년 구스타브 3세 암살로 중립화했다. 1814년 스웨덴은 노르웨이와 동군 연합을 맺었지만, 노르웨이 해군은 육군 등과 마찬가지로 자립 정부 아래에 놓여 스웨덴 해군과 별개였다.
19세기 이후 스웨덴의 국책, 무장 중립에 따라 해군도 중무장화를 했다. 국방을 중시했기에 근대 이후 타국과 교전한 적은 없다.
1902년 연안 포병 부대(Kustartilleriet)가 창설되었고, 해군 명칭은 Kangliga Flottan(왕립 함대)에서 Marinen으로 변경되었다. 냉전 시대는 소련 해군과 전투 대비, 대잠 능력 강화에 고심했다. 냉전 종료 후 연안 포병 부대 삭감을 추진했다. 2000년 연안 방비 삭감으로 연안 포병 부대는 해병대 조직에 가까워졌고, 암피비에코렌(Amfibiekåren)으로 개명되어 해군(Marinen) 내 수륙양용군단이 되었다.
3. 조직
최근까지 해군은 보통 중장이었던 해군참모총장이 이끌었다. 이 직책은 폐지되었고, 현재 해군의 최고 지휘관은 해군참모총장인 요한 노를렌 소장이며, 그는 스웨덴 해군 전투 부대의 수석 대표이다.[8]
해병대 부대는 육군과 동일한 계급 체계를 사용한다. 2009년 기준으로 현역 병력 총원은 약 3,100명이며, 그 중 연안 병력이 약 600명, 징집병이 약 600명이다.[8]
해군 부대는 육군과 동일한 계층 형식으로 운영된다.
- 제1 잠수함 전대(1. ubflj) - 칼스크로나 주둔
- 제3 수상 전투 전대(3. sjöstridsflj) - 칼스크로나 주둔
- 제4 수상 전투 전대(4. sjöstridsflj) - 하닝게 시 베르가 주둔
- 제1 수륙 양용 연대(Amf 1) - 하닝게 시 베르가 주둔
- 해군 학교(SSS) - 스톡홀름 교외 위치
4. 기지
- 무스쾨 해군 기지: 스톡홀름 군도의 무스쾨 섬에 있는 기지이다. 2019년 9월부터 스웨덴 해군의 본부 역할을 하고 있다.
- 칼스크로나 해군 기지(MarinB): 칼스크로나에 있으며, 베르가, 예테보리, 스크레드스비크에 분견대를 두고 있다.[1] 2004년 정부 결정에 따라 스웨덴 해군은 기지를 한 곳으로 모으고, 다른 기지는 폐쇄되거나 기능이 축소되어 분견대가 배치되었다.[1]
기지명 | 위치 | 비고 |
---|---|---|
칼스크로나 해군 기지(MarinB) | 블레킹에 주 칼스크로나 | 전투 함정의 주요 기지, 베르가, 예테보리, 스크레드스비크에 분견대 |
무스쾨 해군 기지 | 스톡홀름 군도 무스쾨 | 2019년 9월부터 해군 본부, 베르가, 예테보리, 비스뷔, 말뫼, 헤르쇠산드에 분견대 |
5. 장비
스웨덴 해군은 다양한 함정과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1522년 6월 7일, 구스타브 1세가 뤼베크에서 여러 척의 배를 구매한 것을 현재 스웨덴 해군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9] 17세기 스웨덴 해군(Kungliga flottan)의 군함으로는 바사 호가 있다.
현대 스웨덴 해군은 잠수함, 코르벳, 초계함, 초계정, 상륙정, 소해함, 정보수집함 등 다양한 함정을 운용하고 있다. 주요 함정으로는 고틀란드급 잠수함, 비스뷔급 코르벳 등이 있다. 자세한 함정 목록은 스웨덴 해군 함정 목록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과거에는 해안포병(Kustartilleriet)이 존재했으나, 2000년에 상륙군(Amfibiekåren)으로 개편되었다.
해군은 2006년 유엔 레바논 임시군에 참여하여 해안 감시 임무를 수행했으며, 2008년부터는 아프리카의 뿔 해안에서 EU 주도의 아탈란타 작전(EUNAVFOR)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헬리콥터와 무인기를 운용하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헬리콥터는 국군 헬리콥터 항공단(sv:Helikopterflottiljen)에 통합되어 있으며,[10] 아구스타 A109LUHS (HKP-15), NH 인더스트리 NH90 (HKP-14) 등의 헬리콥터와 :en:SAGEM Sperwer 전술 무인기를 보유하고 있다.[10]
종류 | 기종 | 대수 |
---|---|---|
다목적 헬리콥터 | 아구스타 A109LUHS (HKP-15) | 20대 |
다목적 헬리콥터 | NH 인더스트리 NH90 (HKP-14) | 18대 |
전술 무인기 | :en:SAGEM Sperwer | 3대[10] |
5. 1. 함정
스웨덴 해군 함정 목록 문서를 참조하면, 과거에 취역했던 함정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9] 현재 스웨덴 해군이 운용 중인 함정은 다음과 같다.;잠수함
- A26형 × 0 (2척 건조 중)
- 고틀란드급 × 3척
:* 고틀란드(Gotland) - 1996년
:* 웁플란드(Uppland) - 1997년
:* 할란드(Halland) - 1997년
- 세데르만란드급 × 2척
:* 세데르만란드(Södelmanland) - 1989년
:* 외스테르예틀란드(Östergötland) - 1990년
;코르벳
- 비스뷔급 × 3척 (2척 건조 중)
:* 비스뷔(K31 Visby)
:* 헬싱보리(K32 Helsingborg) - 2009년
:* 헤르뇌산드(K33 Härnösand) - 2009년
:* 뉘셰핑(K34 Nyköping) - 2012년 취역 예정
:* 칼스타드(K35 Karlstad) - 2013년 취역 예정
- 예테보리급 × 2척
:* 예블레(K22 Gävle) - 1991년
:* 순스발(K24 Sundsvall) - 1993년
;초계함
- 칼스크로나 (P04 Carlskrona) - 1982년 (원래 기뢰 부설함이었으나, 2010년 개장)
;초계정
- (SVK11 Östhammar) - 1985년
- 타파르급 × 12척
함명 | 취역년도 |
---|---|
타파르(81 Tapper) | |
다야르브(82 Djärv) | |
드리스티그(83 Dristig) | |
핸디그(84 Händig) | |
트리그(85 Trygg) | |
모디그(86 Modig) | |
후르티그(87 Hurtig) | |
랍(88 Rapp) | |
스톨트(89 Stolt) | |
아르리그(90 Ärlig) | |
문터(91 Munter) | |
오라드(92 Orädd) |
- 야가렌(V150 Jägaren) - 1972년
- 스톡홀름급 코르벳 × 2척 (2017년에 코르벳에서 초계정으로 종류 변경)
:* 스톡홀름(K11 Stickholm) - 1985년
:* 말뫼(K12 Malmö) - 1985년
;상륙정
- 90H/90HS형 × 145척 ※ 고속정으로도 운용
:* 803-946, (947 Blätunga)
- LCM × 9척
:* 603-606, 608-610, 653, 657
- Transportbåt 2000형 × 2척
:* 451-452
- 그리핀 8100TD형 × 3척 ※ 호버크라프트
:* 302-304
- LCP × 82척
;소해용 표적
- SAM형 × 5척
:* SAM01-02, 04, 06-07
:* 코스터(M73 Koster) - 1986년
:* 쿨렌(M74 Kullen) - 1986년
:* 빙가(M75 Vinga) - 1987년
:* 벤(M76 Ven) - 1988년
:* 울브온(M77 Ulvön) - 1992년
- MSF Mk.1형 × 1척
:* (MRF01 Sökaren)
- 스티소급 × 4척
:* 스티소(M11 Styrsö) - 1996년
:* 스포로(M12 Spårö) - 1997년
:* 스카프토(M13 Skaftö) - 1997년
:* 스투르코(M14 Sturkö) - 1997년
;정보 수집함
- 오리온 (A201 Orion) - 1984년
;DSRV
- URF
;범주 훈련정
;훈련정
- 알타이르급 × 5척
:* 알타이르(A501 Altair)
:* 안타레스(A502 Antares)
:* 아크투루스(A503 Arcturus)
:* 아르고(A504 Argo)
:* 아스트레아(A505 Astrea)
;지원함
- 트로쇠(A264 Trossö) - 1984년
- (A344 Loke) - 1994년
;지원정
- 아르코순드급 × 2척
:* 그룬순드(15 Grundsund)
:* 포로순드(18 Fårösund)
- 각형 × 16척
:* 662-677
;구조선
- (20 Furusund) - 1983년
;수중 작업 모선
- 아기르(A212 Ägir)
;잠수함 구조함
- 벨로스 3 (A214 Belos III) - 1982년
;어뢰 양수정
- 펠리케넨(A247 Pelikanen) - 1963년
;예인선
- 헤로스급 × 2척
:* (A322 Heros)
:* (A324 Hera)
- 각형 × 9척
:* A702-705, 751, 753-756
5. 2. 항공기
2011년 6월 현재, 헬리콥터는 국군 헬리콥터 항공단(sv:Helikopterflottiljen)에 통합되어 있다.[10]종류 | 기종 | 대수 |
---|---|---|
다목적 헬리콥터 | 아구스타 A109LUHS (HKP-15) | 20대 |
다목적 헬리콥터 | NH 인더스트리 NH90 (HKP-14) | 18대 |
전술 무인기 | :en:SAGEM Sperwer | 3대[10] |
6. 계급
최근까지 해군은 보통 부제독이었던 해군 참모총장이 이끌었다. 이 자리는 사라졌고, 현재 해군 최고 책임자는 스웨덴 해군 전투군의 수석 대표인 해군 참모총장 에와 스코그 하슬룸이다.
해병대 부대는 육군과 같은 계급 체계를 사용한다.
; 장교 계급
장교의 계급장은 다음과 같다.[6]
NATO 코드 | OF-10 | OF-9 | OF-8 | OF-7 | OF-6 | OF-5 | OF-4 | OF-3 | OF-2 | OF-1 | ||||||||||||||
---|---|---|---|---|---|---|---|---|---|---|---|---|---|---|---|---|---|---|---|---|---|---|---|---|
colspan=2 rowspan=2| | ||||||||||||||||||||||||
Amiral|제독 (스웨덴)sv | Viceamiral|부제독 (스웨덴)sv | Konteramiral|준제독 (스웨덴)sv | Flottiljamiral|플로틸랴미랄sv | Kommendör|코멘도르sv | Kommendörkapten|코멘도르켑텐sv | Örlogskapten|오를로그켑텐sv | Kapten|대위#해군sv | Löjtnant|소위#해군sv | Fänrik|패닉sv |
; 기타 계급
부사관 및 사병의 계급장은 다음과 같다.[7]
NATO 코드 | OR-9 | OR-8 | OR-7 | OR-6 | OR-5 | OR-4 | OR-3 | OR-2 | OR-1 | |||||||||||||||||||||||||||
---|---|---|---|---|---|---|---|---|---|---|---|---|---|---|---|---|---|---|---|---|---|---|---|---|---|---|---|---|---|---|---|---|---|---|---|---|
![]() | ||||||||||||||||||||||||||||||||||||
Flottiljförvaltare|플로틸리포르왈타레sv | Förvaltare|포르왈타레sv | Överfanjunkare|오버패니우케레sv | Fanjunkare|패니우케레sv | Översergeant|오버세르전트sv | Sergeant|병장 (스웨덴 및 핀란드)sv | Överfurir|오버푸리르sv | Furir|푸리르sv | Korpral|상병sv | Vicekorpral|부상병sv | Menig 4|병사 4sv | Menig 3|병사 3sv | Menig 2|병사 2sv | Menig 1|병사 1sv | Menig|병사sv |
참조
[1]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2
Routledge
[2]
서적
Sveriges marina förband och skolor under 1900-talet
Statens försvarshistoriska museer
[3]
웹사이트
The Navy
https://www.forsvars[...]
2020-09-02
[4]
웹사이트
A Day Aboard HSwMS Kullen
http://www.aco.nato.[...]
2014-10-19
[5]
웹사이트
90 000 ton humanitär hjälp säkrades under svensk ledning
http://www.forsvarsm[...]
2010-08-16
[6]
웹사이트
Försvarsmaktens Gradbeteckningar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014-01-02
[7]
웹사이트
Försvarsmaktens Gradbeteckningar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014-01-02
[8]
간행물
Military Balance 2009
[9]
문서
ランドソルト級の近代化改修版。
[10]
간행물
Military Balance 2009
[11]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2
Routledge
[12]
웹인용
The Navy
https://www.forsvars[...]
2020-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